2년차 LINE 서버 개발자의 2019년 회고

벌써 LINE에 입사한지 2년이 다 되어간다. 올해는 정말 시간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겠다. 정신 차리고 보니 2020년이 코앞이다. 올해는 작년에 하지 못했던 회고를 해보려한다.

블로그 포스팅

어떻게 회고를 시작할까 생각하다가 올해 포스팅한 글들을 확인해보았다. 올해는 26개의 글을 포스팅을 했다. 올해 작성한 글들을 통해서 어떤 일들이 있었고 무엇을 느끼고 배우게 되었는지 정리해보려 한다.
2019-article

Non-blocking / Asynchronous 관련 기술 공부

사내에서 팀원분들의 PR을 리뷰하면서 Non-blocking/Asynchronous에 관련된 내용을 많이 접하게 되었다. Webflux나 Armeria와 같은 프레임워크들을 처음 공부하면서 Reactive라는 용어와 함께 그 기반이 되는 Non-blocking/Asynchronous에 대한 내용을 접하게 되었고, Netty를 거쳐 Java NIO와 멀티플렉싱까지 관심을 갖고 공부하게된 계기가 되었다.

개인적으로 무언가 새로운 기술을 접하고 사용하게 될 때, 그 기술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과 기반이 되는 기술 또한 공부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실제로는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내용들인데 매번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때면 그 기술 자체에 집중하느라 흐름을 따라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또한 이러한 부분을 정리하는 것도 갈수록 어려워지는것 같다.

결과적으로 이와 관련된 내용은 후에 팀내에서 Webflux 관련 스터디를 진행하면서도 개인적으로 큰 도움이 되었다.

오픈소스 첫 컨트리뷰트

올해는 처음으로 오픈소스에 컨트리뷰트를 해보았다. Armeria는 Java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번 쯤 들어보았을 Netty를 만드신 희승님께서 개발하고 계신 오픈소스이다. 어느날 사내에서 Armeria Sprint라는 행사를 진행하게 되었고 이 행사에 참여해 처음으로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오픈소스 컷 컨트리뷰트 경험기>를 보면 좋을 것 같다!)

평소 오픈소스에 컨트리뷰트를 해보고 싶었지만 어떻게 해야하는 것인지, 내가 할 수 있을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다면, 이번 첫 컨트리뷰트를 통해 이러한 부분들을 많이 해소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첫 컨트리뷰트 이후로도 꾸준히 해보겠다고 다짐했지만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내년에는 꾸준히 하지는 못하더라도 오픈소스에 관심 갖고 기여하는 시간을 조금 더 가져보려고 한다.

armeria

공부 방식의 변화

작년에는 32개의 글을 포스팅을 했는데, 올해 작성했던 글들은 작년에 작성했던 글들과 조금 차이가 있다.

작년에 작성했던 글들은 대부분이 회사에 입사해 처음으로 접하는 기술들을 공부하며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는 내용의 글들이었다. 말로만 듣다가 처음 접하게 된 Spring과 학부생 수업때 이후로 사용하지 않던 Java 뿐만 아니라 Gradle, Jenkins, SonarQube와 같은 것들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다루었다.

각각에 대해서 깊은 내용을 다루기 보다는 당장 회사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에 대해 파악하고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정도로 공부하고 정리하며 글을 작성했던것 같다.

이에 반해, 올해 작성했던 글들은 회사에서 업무를 진행하며 겪었던 문제에 대한 내용 혹은 PR review에서 받았던 코멘트들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 작성했다. 앞으로도 업무를 하면서 새로 알게된 내용들 위주로 작성하게 될 것 같다.

또한, 한가지 더 변한 것이 있다면 작년에는 기술 서적을 최대한 많이 읽기 위해 노력했지만 올해는 조금이라도 직접 코드를 작성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갖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확실히 책을 여러번 아무리 많이 보아도 직접 코딩하는게 학습에는 제일 효과가 좋은 것 같다.

실무에서 배운 것

근무하고 있는 LINE의 개발 문화에 대해서는 동기가 잘 작성한 글로 대신한다. (2년차 서버 개발자가 바라본 LINE의 개발 문화)

올해는 기존의 feature 하나를 새롭게 리뉴얼하면서(설계부터 릴리즈까지) 정말 너무나도 많은 것들을 배웠다. 아주 간략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기존 legacy 코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 다른 부서(기획팀, 클라이언트 개발팀, 서버팀)와의 협업
  • 이미 서비스 되고 있는 client에 대해서는 어떻게 다룰 것인지
    • backward compatibility (하위 호환성) 지원
  • 릴리즈 후 모니터링

개발 후 릴리즈까지가 끝이라고 생각했지만 모니터링 또한 매우 중요했다. feature가 문제없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그리고 장애 상황을 미리 감지할 수 있도록 의미있는 metric들을 잘 정의하고 대시보드로 만드는 것까지 함으로써 feature에 대한 개발을 마무리 할 수 있었다.

릴리즈 후 모니터링을 하면서 몇일간 기존의 API에서 리뉴얼 된 API로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해 변경된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API 디자인의 변경으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지표에 미치는 영향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어디가서 쉽게 해볼 수 없는 값진 경험이었다.

그러나 많은 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릴리즈 후 예상하지 못한 부분에서 장애가 발생했었고 LINE의 장애 보고와 후속 절차 문화에 따라 어떻게 하면 앞으로 같은 장애를 겪지 않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었다.

약 6개월간 진행했던 feature 리뉴얼을 진행하며 배운것을 아주 간략히 정리해보았다. 지나고나니 아쉬웠던 부분들도 생각이 난다. 다음번에는 이런 부분들도 잘 고려해서 문제없이 마무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

2년차 LINE 서버 개발자의 2019년 회고

https://jongmin92.github.io/2019/12/26/Programming/2019-retrospect/

Author

KimJongMin

Posted on

2019-12-26

Updated on

2021-03-22

Licensed under

댓글